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여성에게 자주 발생하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제때 치료해야 하는 이유! [특히 여성에게 자주 나타나는 병] 20살부터 50살
    카테고리 없음 2021. 11. 4. 05:28

    지난 번에 갑상선 호르몬이 필요한 정도보다 부족한 상태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와 반대로 갑상선 호르몬이 필요 이상으로 분비되면 어떤 문제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오늘은 갑상선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나타나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자세히 보는 식욕은 감소하지만 체중이 증가한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는 질병이 있습니다. 이 병은 특히 여성에게 더... blog.naver.com

    *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 빅데이터 ■ 산출조건 : 갑상선독증 [갑상선기능항진증] ■ 상병코드 : E05 심사연도 : 2016~2020년 ■ 제공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 시스템 ▶ http:/■ 연령별 환자는 진료비 명세서에 기재된 수진자의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계산한 연령이며 진료 시점으로 중복 집계되는 일이 있습니다.※병은 주상병 기준이어서 최종 확정된 병과는 다를 있습니다.※더 자세한 통계 자료는 심평원 보건 의료 빅 데이터 개방 시스템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2020년의 자료는 아직 집계 중에 있는 수치가 바뀌는 일이 있습니다. 건강 보험 심사 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매년 20만명 이상의 환자가 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 병원을 방문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환자 265,427명 중 여성이 187,579명으로 약 70.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성 환자를 연령별로 보았을 때 50대 환자가 가장 많았고 다음에 40대가 많았습니다. 20대 미만의 여성 환자는 6천 여명으로 전체 여성 환자의 약 3.1%에 머물했습니다만, 20대부터는 1만명이 넘는 환자수를 기록했습니다.

    갑상샘 기능 항진증이란?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정상보다 많이 분비되고, 몸의 에너지가 빨리 소모되는 것으로 갑상선 독증이라고도 합니다. 어느 연령에도 발생할 수 있지만, 20세부터 50세 여성에게 자주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유발하는 원인은 바로 자가 면역 질환인 바세도우병인데요. 자가면역질환은 면역력이 자신의 몸을 외부 바이러스로 착각하여 공격하는 질환으로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합니다.

    식욕은 왕성한데 체중이 감소한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증상은 여러 가지입니다만. 가장 대표적인 것은 갑상선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체력 소모가 심해지고, 이로 인해 피로를 느끼기 쉽습니다. 또한 식욕은 높아지고 잘 먹는데 체중이 줄어드는 특징적인 증상이 있습니다. 신경질적이고 침착하지 못하는 등 감정 변화가 심해지기도 하며, 그 외 땀을 많이 흘리기도 하며, 두근거림이나 가벼운 운동에도 비교적 숨이 찹니다. 노인의 경우에는 부정맥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외형적으로는 갑상선 부위가 커지고, 눈이 앞으로 튀어나오는 안구 돌출이 보일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증 저하증과 갑상선 기증 항진증의 차이>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식욕은 감소하지만 체중이 증가·식욕은 좋지만 체중이 감소·추위·더위가 가득차 땀나기·땀나기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가 필수입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갑상선 호르몬 농도를 검사하고, 그 외에 갑상선 초음파, 갑상선 스캔 등을 실시할 수도 있습니다.

    갑상샘 항진증을 제때 치료해야 하는 이유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제때 치료하지 않을 경우 갑상선 중독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만. 따라서 고열과 함께 심장박동수가 빨라지는 빈맥, 저혈압,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에 합병증을 일으켜 부정맥이나 심부전의 위험이 있으며 골다공증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치료를 받아 갑상선 중독증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해야 합니다.

    치료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가장 많이 하는 치료로는 항갑상선제를 복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둘째, 방사성 요오드 치료로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해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있고, 특히 임산부는 할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수술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갑상선종이 매우 크거나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원하지 않거나 하는 경우에 시행할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관리로서는 체중 감소를 막기 위해 고칼로리 음식을 섭취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좋으므로 과도한 운동이나 활동은 삼가야 합니다. 만약 설사를 자주 하는 경우는 탈수증상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을 자주 섭취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무엇보다 적시에 적절한 치료를 받아 다른 합병증의 발생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출처=서울아산병원 질환 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 서울대병원 종합질병정보 http://www.snuh.org/health/compreDis/ES01 질병관리청 국가정보 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