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고지혈증의
    카테고리 없음 2021. 1. 17. 18:50

    오늘은 고지혈증의 식이 요법과 운동 요법에 대해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지혈증에 대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은 핵심적인 치료방법으로 반드시 시행해야 합니다.

    [식이요법의 원리와 실습]을 바탕으로 식이요법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바쁘신 분은 아래의 실제 적용 방법을 읽어 주세요.

    1) 탄수화물 섭취 감소 (전체 열량의 50~60% 이하)

    가끔 지방량만 제한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시는데, 저희 몸에서 과다한 탄수화물은 간에서 중성지방과 합성돼 혈액으로 전송되는 거예요.즉 한국의 주식인 밥뿐만 아니라 빵, 떡, 다양한 당분(청량음료, 과일, 과자 등)이 중성지방을 높이는 원인이 됩니다.

    2. 섭취 지방량 제한(전체 칼로리의 2535%)

    포화 지방산의 섭취를 줄이면 혈중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집니다.육류의 지방 부분, 닭고기 껍질 부분을 제거해 줍니다. 우유, 버터 등의 유제품은 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저지방 우유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우유나 버터를 사용하는 케이크나 빵에도 포화 지방산이 많이 있기 때문에 조심하는 것이 좋아요.

    3) 콜레스테롤 제한 (1일 300mg 이하, 중도의 경우 200mg 이하)

    식품별 콜레스테롤 함량표를 참고하지만 식품별로 함께 함유된 영양소에 따라 괜찮은 식품도 있습니다.(새우나 조개 등에는 타우린이 함께 들어있어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섭취해도 되며 계란은 흰자의 경우 콜레스테롤이 거의 없고 단백질이 풍부하므로 하루에 1개씩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식이섬유 섭취 증가(1일 20g~25g이상)

    식이섬유는 장내에서 물을 흡수하고 대변의 양을 늘리고 대변을 부드럽게 할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과 흡착하여 대변에 배설시키는 역할도 있습니다.

    5) 음주제한 (1일 25g 이하, 심할 경우 금주)

    알코올은 열량이 높고 간에서 중성 지방을 만들게 되므로 절주가 원칙으로 심할 경우 금주를 합니다.

    [고지혈증 환자의 식이요법 실제 적용 방법]

    1. 쇠고기, 돼지고기 등은 살코기만 쓰고 눈에 보이는 기름은 모두 잘라버린다.

    가공된 고기(베이컨, 소시지, 햄 등)는 지방이 많아 먹지 않는다.

    닭고기, 칠면조 등은 껍질과 지방층을 제거한 후 사용한다. 조리할 때 튀김은 피한다.

    4. 생선은 콜레스테롤을 함유하고 있지만 포화지방산이 적은 루모의 육류보다는 생선을 자주 섭취한다.

    5. 새우 가재 등은 콜레스테롤이 많지만 포화지방량이 적기 때문에 가끔 허용된다.

    6. 우유는 가급적 지방 함량이 1% 이하인 우유를 마신다. 조리 시에도 저지방 또는 탈지우유를 사용한다.

    7. 기름은 불포화지방이 많은 식물성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코코넛 기름이나 야자유 등은 포화지방이 많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8.달걀은 노른자 대신 흰자를 쓴다.

    9. 과일과 채소는 비타민, 섬유소, 무기질 등이 풍부하기 때문에 충분히 섭취한다. 다만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사람의 경우 과일도 주의해서 섭취한다.

    10.도정이 덜 된 곡류나 콩의 섭취를 권장한다.

    11. 견과류는 지방량과 칼로리가 많으므로 섭취 시 주의한다.

    이번에는 고지혈증의 운동요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약물치료를 하는 경우에도 운동요법은 필수! 과녁에 시행해야 합니다.하루 200kcal 이상의 에너지 소모를 목표로 운동합니다.

    운동강도는 최대 운동강도의 50%~70%정도가 적당합니다.

    쉽게 50% 정도의 운동강도를 구하는 방법은 운동 시 1분 맥박수=138-(연령 2)입니다.

    2) 1일 30분 이상, 주 4~6회 실시합니다.

    추천운동과 30분만에 소모되는 칼로리는 청소(100), 걷기(60), 계단타기(120), 조깅(22), 실내자전거(250), 수영(250)입니다.

    고지혈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적정 체중 유지, 규칙적인 운동, 식사 조절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실천입니다.읽어주신 분들 오늘부터 같이 식사조절과 운동을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blog.naver.com/kmdpek 안녕하세요? 상동경희 부부의 의원입니다^^상동경희부부한의원처음오시는분들을위해방문하실방...blog.naver.com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