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약물치료 VS 수술치료 소아편 도선염 치료방법
    카테고리 없음 2021. 3. 3. 01:31

    소아편도선염 치료방법 약물치료 VS 수술치료

    우리 아이의 편도선 때문에 한 번 이비인후과에서 진찰을 받은 경험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편도선은 우리 아이의 성장과 기초 면역력과 관련된 기관인데, 감염증과 같은 증상이 자주 발생하여 편도선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편도는 목젖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코 뒤에는 구강과 비강을 통해 침입하는 병원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림프 조직이 분포하고 있습니다.입을 크게 벌렸을 때 보이는 곳이요, 크게 복숭아 모양을 한 구개도예요.

    또한 아데노이드, 이관 편도는 코와 목구멍 사이에 있고, 혀 편도는 혀 끝의 뿌리 쪽에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 보는 것이 어렵습니다. 편도선과 아데노이드는 5세 안팎까지 커지며 점점 작아진다.

    편도는 코와 입으로 들어오는 병원균을 방어하지만 오히려 병원균 때문에 염증반응을 일으켜 감기라고 불리는 상기도 감염으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자주 감기에 걸리면 편도선이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져서 외부 스트레스에 상당히 민감해지면 숨을 멈추고 코를 골거나 또는 목소리의 변화와 목의 이물감을 느끼는 불쾌감을 가져옵니다.

    급성 편도선염 특징의 증상과 손은 며칠 사이에 급격히 침을 삼킬 수 없을 정도로 목이 너무 아픕니다.또한 고열이나 오한, 두통, 골관절통, 귀 통증의 증상도 볼 수 있습니다.

    만성 편도선염은 급성 증상이 짧은 기간에 반복되지만 목에 뭔가 걸리는 이물감이 있어 이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이염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소아편도선염은 편도와 아데노이드가 비대해져 코가 막히고 입을 벌리면서 호흡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코고는 소리가 심해지고 목감기도 자주 생기게 되는데 아이들은 숙면이 성장발달에 매우 많은 영향을 받는데 편도와 아데노이드 비대로 인해 수면무호흡증이 생기게 되면 아이들의 성장호르몬 분비가 적어지게 됩니다.그래서 편도염이 만성이 되기 전의 급성 시에 제대로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소아편도선염 치료방법, 약물치료? 수술 치료?

    소아 급성 편도염의 치료 방법은 약물 치료를 하게 되지만, 항생제와 소염제로 치료를 합니다. 만일 합병증이 의심되거나 고열이 동반되면 탈수가 심해져 소아의 경증 발작의 원인이 되므로 입원, 수액공급, 항생제 투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소아편도선염이 만성화되면 다양한 합병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특히 소아는 축농증, 중이염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항생제 치료에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면 편도와 아데노이드 절제수술 치료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편도와 아데노이드는 이 밖에도 위장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일으키며, 이것은 편도, 아데노이드 절제 수술의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다만 단순한 코골이나 무호흡을 관찰할 수 있다고 해서 무조건 수술은 아닙니다.아이들은 보통 편도의 비대가 관찰되어 편도선 염증상을 반복하는 등 만성 편도염이라면 수술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은 환자의 연령대별 상태와 합병증 발생 상황에 맞게 적절한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탄신도시에서 10년 편도선 질환치료 전문병원 '동탄상쾌한 이비인후과' ☎ 031-8003-8275 경기도 화성시 동탄솔빛로 44 신성프라자 302호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