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요한 이유 - 편도체 기능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카테고리 없음 2021. 2. 7. 10:27
소은희 마인드피아&코로첸기 EMDR 트라우마센터 소아청소년클리닉입니다.오늘은 편도체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렬한부정적감정은무의식적으로남아서사람의행동에영향을미치게되죠.
엄청난 공포감을 느끼는 경우, 이에 대한 기억은 심리적인 트라우마가 되어 해마의 일부분인 편도에 깊게 각인되는데, 편도는 해마의 끝에 위치한 뇌의 일부분으로 기쁨, 슬픔, 분노, 불쾌와 같은 감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부분입니다. 편도체-wikipedia 편도체는 인간이 원시생활을 하던 시대부터 생존을 위해 위기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발달해 왔습니다. 편도체는 공포의 중심 중추라고 할 수 있지만, 생명 유지로 직결되는 공포 상황을 판단하여 대처합니다.정보가 시상에 들어가면 시상에서는 이를 대뇌피질과 편도의 2곳에 전달합니다.
일상의 정보처리통로인 피질로 전달되는 경우, 정보처리속도는 느리지만 대뇌피질의 정보를 수집, 판단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처리됩니다.
하지만 시상에서 편도체로 전해지는 경우는 속도는 더 빠르지만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그러나 생명이 직결되는 위험상황에서는 다소 정확하지 않더라도 신속하게 상황을 피하는 대처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위기상황에서는 편도가 활성화되어 신속하게 피할 수 있게 됩니다.
생존이 위협받는 극단적인 상황이나 스트레스가 심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편도체는 부정적인 정서에 민감합니다.
편도체는 과거에 자신이 부정적 정서를 강하게 경험했던 상황이 반복되면 그 상황에서 벗어나려 하지만 대중 앞에서 발표를 하다 실수를 해서 심한 모멸감이나 좌절감을 경험했을 경우 비슷한 상황이 반복될 것으로 예상되면 가슴이 두근거리고 긴장이 돼 손에서 땀이 나는 등 긴장감이 높아지고 그 상황을 피하고 싶은 것이 이런 이유입니다. 아이에게 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이런 편도체의 영향 때문입니다.
공부로 인해 심하게 혼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이어지고, 아이들이 공부와 관련된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면 아이는 공부하는 상황을 더 피하고 싶어합니다. 부정적인 경험을 피하는 것은 어린이의 뇌가 자신을 보호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녀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 등을 연구하여 수업을 보다 재미있게, 각 자녀의 장점을 이끌어 가기 위해 부모와 교사는 항상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실패를 겪더라도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자신 있게 다시 도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아동의 정신건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언제든지 서은희 마인드피아로 연락주세요.